경기도 등 집중호우 피해 복구비 7,905억 원 투입

김금수 | 기사입력 2022/09/12 [16:59]

경기도 등 집중호우 피해 복구비 7,905억 원 투입

김금수 | 입력 : 2022/09/12 [16:59]

정부가 지난달 8일부터 17일까지 발생한 중부지방 집중호우 피해를 복구하기 위해 총 7,905억 원을 투자하는 복구계획을 마련했다.

 

복구비는 경기 3,273억,원, 충남 2,035억,원, 강원 1,374억,원, 서울 1,123억,원 등이다. 시설별로는 사유시설 1,077억,원, 하천 2,960억,원, 소하천 1,381억,원, 산사태 631억,원 등이다.

 

또 사유시설 피해까지 유발한 공공시설은 피해 원인을 해소하고 유사한 피해가 재발되지 않도록 협소한 교량을 넓히는 등 복구계획도 수립했다.

 

이번 피해는 지난달 8일부터 활성화한 정체전선이 서울·경기 등의 지역에 머물면서 이들 지역에 집중호우가 내려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특히 서울지역은 기존의 시설기준에 따라 설치된 우수관거 배수용량이 부족해 도심지 상가·주택지역에 침수피해가 집중됐다.

 

경기·강원·충남지역은 장기간의 강우로 하천에 유입된 토석류가 수위상승을 유발하고, 교각 간 간격이 좁은 교량이 홍수의 흐름을 저해해 하천 범람과 인근 지역 침수 등의 2차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집중호우로 인한 재산피해는 3,155억,원으로 집계됐다. 서울·경기지역 등 도심 저지대 주택 2만 7,262세대 침수피해와 함께 농경지 410ha, 농작물 4,449ha 등의 사유시설이 피해를 입었다.

 

공공시설은 하천·소하천 1,153건, 도로·교량 236건, 상하수도 346건, 소규모시설 796건 등 1만 6,842개소가 피해를 입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중앙대책본부는 복구비 지원규정에 따라 재산피해액과 복구비를 산정해 지원하고, 유사피해 방지를 위한 복구계획을 마련했다.

 

이번 계획으로 하천 범람 등으로 주거지 침수가 광범위하게 발생했거나 인명피해가 발생한 시설은 근본적으로 개선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또 산사태·토석류 차단을 위해 사방댐 26곳을 설치하고, 하천이 좁아 범람 피해가 컸던 지역을 중심으로 하천 폭을 확장하고 협소한 교량을 넓혀 유수 소통이 원활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동안 정부는 지자체가 피해를 신속하게 수습할 수 있도록 재난안전특교세 등 163억 3,000만 원을 긴급 지원했다. 사유시설 피해에 대한 재난지원금이 추석 전에 지급될 수 있도록 국비 부담분 594억 원을 우선 교부해 지자체 재정부담을 덜어줬다.

 

중앙대책본부회의에서는 침수 이상의 피해를 입은 소상공인에 대해 최대 400만 원까지 지원하기로 했다. 이재민의 장기 주거안정을 위해 임시조립주택·임대주택 등을 제공하고, 가전 3사와 함께 침수피해를 입은 가전제품 5,092대 무상수리도 진행했다.

 

이상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장은 “지난 집중호우 피해로 어려움에 처한 주민과 지역을 돕기 위해 빠르게 복구계획을 수립했다”면서 “앞으로 복구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해 피해지역이 온전한 모습을 회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김금수 기자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포토뉴스
김남주, 새 드라마 ‘원더풀월드(가제)’로 5년 만에 안방극장 복귀!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