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소각장' 확충 문제 해법은 '無'…시는 군구 책임져라 '떠넘기기?'

배종석·김낙현 | 기사입력 2024/01/29 [17:55]

'인천 소각장' 확충 문제 해법은 '無'…시는 군구 책임져라 '떠넘기기?'

배종석·김낙현 | 입력 : 2024/01/29 [17:55]

 

인천시가 군·구 주도의 소각장(자원순환센터) 확충 방식으로 전환하는 문제를 놓고 미묘한 파열음이 생겨나고 있다.

 

29일 시에 따르면 시는 오는 2026년 생활폐기물(쓰레기) 직매립 금지 조치에 따라 4개 권역별 소각장 확충 정책을 폐기하고 군·구 주도의 소각장 확충 방식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이날 유정복 시장은 시청 브리핑룸에서 '자원순환센터 정상화 추진계획'을 마련하고 종전 4개 권역으로 나눠 추진해오던 광역 소각장 추진 계획을 전면 재검토 한다는 사실을 이같이 밝혔다.

 

이에 송도소각장을 현대화한 뒤 사용하기로 한 남부권 소각장과 서구가 입지선정위원회를 꾸리고 있는 북부권 소각장을 제외하고는 모두 재검토가 이뤄질 것으로 보여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구와 동구, 부평구와 계양구, 옹진군 등은 자체 소각장 설치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입장이여서 당분간 갈등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4개 권역은 남부권(미추홀·남동·연수구)와 북부권(서구·강화군), 동부권(부평·계양구), 서부권(중·동구·옹진군) 등이다.

 

또한 시는 다음달까지 10개 군·구가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자원순환정책 지원 실무협의회'를 구성하고 이들 군·구 주도의 지역별 폐기물 처리 대책을 협의하고 조정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는 오는 3월까지 군·구별 처리대책(안) 협의를 한 뒤 실무협의회 논의를 마치겠다는 구상을 마련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렇지만 이같은 시의 구상이 제대로 실행될 수 있을지는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군·구 관계자들은 "시가 4년째 주도해온 소각장 확충 사업이 좌초한 상황에서 군·구에 맡기면 기간과 예산에 대한 시각차와 입지 문제 등으로 협의가 이뤄지기 쉽지 않다"며 "또 국비 40%를 지원 받기 위해서는 지자체가 함께 짓는 광역화가 필요하다. 그래서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시 관계자는 "그동안 소각장 확충 사업은 주민 반대에 부딪혀 제대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며 "지금은 책임을 서로 떠넘길 것이 아니라 시를 비롯, 각 군·구에서 적극 나서야 할 시점이다. 각 군·구에서 적극 나선다면 시는 돕겠다는 입장이다"라고 설명했다./배종석ㆍ김낙현 기자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포토뉴스
한소희, 문신 제거하고 나니 압도적인 미모 과시로 男心 '심쿵'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