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 CJ, 현대, 롯데, NS 등 5개 홈쇼핑사에게 중소기업은 '그야말 봉'

여민지 | 기사입력 2024/10/25 [18:17]

GS, CJ, 현대, 롯데, NS 등 5개 홈쇼핑사에게 중소기업은 '그야말 봉'

여민지 | 입력 : 2024/10/25 [18:17]

한민수 의원실 제공

 

기업 홈쇼핑 업체들이 중소기업에게 더 높은 판매수수료를 부과하면서도 프라임시간대 편성은 더 적게 하는 것으로 드러나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25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한민수 의원(더민주당)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GS, CJ, 현대, 롯데, NS 등 5개 홈쇼핑사의 중소기업에 대한 실질 판매수수료율은 32.5%로 전체 평균 28.5% 대비 4% 더 높았다.

 

업체별로는 현대홈쇼핑이 10.2% 차이로 가장 컸고, GS SHOP 5.3%, CJ온스타일 3.6%, 롯데홈쇼핑 2.3% 순이다. NS홈쇼핑은 5개사 중 유일하게 중소기업 판매수수료율이 1.7% 더 낮았다. 실질 판매수수료율은 판매수수료율(2022년 기준 26.5%)에 납품업체의 물류, 배송, 택배비용을 포함한 수수료율이다.

 

특히 더 높은 수수료율에도 불구하고 프라임시간대(주중 오전/오후 08~11시, 주말 08~23시)중소기업제품 편성비율은 59.7%로 전체 평균 65.2%보다 5.5% 더 낮았다. CJ온스타일이 8.0% 차이로 가장 컸고, NS홈쇼핑이 2.3%로 가장 적었다.

 

또 5개 홈쇼핑에 납품하는 전체 기업수는 평균 676개인데, 중소기업은 평균 459개로 68%를 차지한다. 중소기업제품 편성비율은 롯데홈쇼핑이 73.7%로 가장 높았고, NS홈쇼핑 68.0%, CJ온스타일 63.5%, 현대홈쇼핑 63.4% 순이다. GS SHOP이 57.5%로 가장 낮았다.

 

TV홈쇼핑은 설립 시기에 따라 승인조건이 다르다. 1990년대 중반 설립한 GS SHOP, CJ온스타일, 현대홈쇼핑은 중소기업제품 편성비중 의무가 없고, 2001년이후 설립한 롯데홈쇼핑은 65%, NS홈쇼핑은 식품에 한해 60%, 홈앤쇼핑은 80%, 공영홈쇼핑은 100% 의무 조건이 있다.

 

한민수 의원은 "최근 IPTV사업자들의 송출수수료 인상으로 홈쇼핑사들도 어려운 상황이지만, 20%를 상회하는 홈쇼핑 판매수수료는 백화점, 대형마트, 아울렛, 온라인쇼핑몰 등 타 유통업계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라며 "중소기업제품 편성비율 상향과 판매수수료 인하를 위해 대기업 홈쇼핑사들이 더 솔선수범해야 한다"고 말했다./여민지 기자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포토뉴스
한소희, 문신 제거하고 나니 압도적인 미모 과시로 男心 '심쿵'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