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ㆍㆍㆍ최근 검찰과 경찰 등 수사기관에서 광명지역 재개발 및 재건축 조합에 대해 추가적인 압수수색을 진행했다는 소문으로 취재기자들이 진위파악에 나서는 등 뒤숭숭한 분위기.
앞서 지난달 18일 오전 경기남부경찰청은 수사관을 보내 광명11구역 조합에 대해 압수수색을 단행. 이날 압수수색에서 경찰은 조합 사무실 일부 자료를 비롯, 조합장 핸드폰, 조합장 거주지 등에 대해서도 압수수색을 단행한 것으로 파악.
이처럼 광명11구역 압수수색을 놓고 지역은 물론 조합 내부에서도 설왕설래. 일부 조합원들은 형식적인 압수수색이라고 단정하거나 폄훼하는 발언을 서슴치 않는 분위까지 보이고 있지만 법조계 내부에선 조합에 대해 압수수색은 사법처리를 전제로 진행하는 것이라는 이야기가 흘러나오고 있어 과연 경찰의 수사가 어디까지 진행될지가 초미의 관심.
이런 가운데 최근 A조합에 대해서도 수사기관에서 압수수색을 단행했다는 소문이 파다. 지역의 소식통에 따르면 지난달 31일 오전 A조합 사무실에 대해 수사기관 3~4명이 압수수색을 벌여 자료와 조합장 핸드폰에 대해 압수했다는 소문이 비등.
또한 같은달 20일쯤에도 B조합의 사무실에 대해 수사기관에서 압수수색을 벌였다는 제보가 잇따르는 등 최근 각종 잡음과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광명지역 재개발·재건축 조합에 대해 검찰과 경찰 등 수사기관의 대대적인 수사가 진행된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들리고 있는 실정.
현재 광명지역에는 광명1구역을 비롯, 2구역, 4구역, 5구역, 9구역, 10구역, 11구역, 12구역 등이 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철산8·9단지, 철산10·11단지 등은 재건축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 심지어 세대수도 무려 3만여 세대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
하지만 일부 조합의 경우 공사과정에 각종 논란을 일으키는가 하면 투명하지 못한 업체 선정과정, 학교 신설 및 증축 과정의 잡음, 조합과 비상대책위원회와의 갈등, 일부 조합은 공사가 마무리됐지만 조합장이 잠적해 청산하지 못하고 있다는 소문, 투명하지 못한 공사비, 여기에 광명시청을 사칭하거나 '공문서 위조' 사건까지 발생하는 등 그야말로 논란의 중심지로 전락.
A조합과 B조합 관계자는 "수사기관에서 압수수색을 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날 조합 사무실에 문의를 해보니 전화는 받지 않고 문은 닫혀 있고, 직원들은 오전에 퇴근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라며 "이런 사실에 대해 조합 직원들이 함구로 일관하고 있다. 도대체 숨길 것이 얼마나 많아 '쉬쉬'하며 있는지 답답하고 화가 난다"고 일침.
비대위에서 활동하고 있는 조합원들은 "어느 조합의 경우 조합장이 잠적해 청산하지 못하고 있는 황당한 일까지 벌어지고 있다"라며 "또한 준공했지만 각종 부실공사 등으로 잡음이 끊이지 않는 조합도 있다. 일부 조합은 공사비 때문에 시끄럽다"라고 현재 분위기를 전달.
아울러 "여기에 일부 조합은 친인척 문제, 업체 선정에 의혹이 있다는 이야기도 있다"라며 "이런 가운데 광명시는 문제가 되는 조합에 대해 제대로 감사조차 하지 않고 있다. 결국 수사기관에서 강력하게 대응하는 것이 아닌지 생각이 든다. 이번 기회에 광명지역의 재개발 및 재건축 조합에 대해 강력한 수사와 감사, 처벌이 진행됐으면 한다"고 한마디./배종석 기자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