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심각한 중국산 장비와 부품 편중에 대책은?
여한용 | 입력 : 2025/01/05 [18:16]
중국산 장비와 부품의 편중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첨단농기계 기술확보에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여론이다.
이만희 국회의원(국민의힘)이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일반 농기계가 190만 6,736대에서 194만 9,883대로 2.2% 소폭 증가한 것에 비해 전기 배터리가 탑재된 농업기계는 767대에서 1만 6,847대로 무려 2096.4% 폭증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전기 농기계의 급증 배경에는 지난 5년간 농촌진흥청이 일반 농기계를 대상으로 한 35개의 R&D를 크게 웃도는 57개의 전기 농기계 R&D를 실시하고 있는 것에 더해, 농림축산식품부가 지원한 전기 농기계 관련 융자 또한 68억 600만 원에서 106억 6,500만 원으로 56.6% 증가할 정도로 전기 농기계에 대한 우호적인 정책환경과 연관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지난 인천 아파트 지하주차장 화재원인으로 지목된 전기차의 배터리 제조국이 중국으로 드러남에 따라 중국산 배터리에 대한 사회적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국내 시판 중인 농업용 드론 등 전기 농기계 314종 중 161종(51.2%)이 중국산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국산에 대한 의존도는 오히려 농정당국이 예찰 및 소독, 공익직불제 이행점검 등을 위해 다방면에서 운용하고 있는 공공용 드론에서 더욱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실제 이 의원이 농림축산식품부, 농촌진흥청, 농어촌공사, 농수산식품유통공사,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등 13곳에 대한 농업용 공공드론에 대한 전수조사 결과, 총 378대 중 276대(73.0%)가 중국산인 것으로 밝혀졌다.
기관들은 해당 드론들에 대해 적게는 대당 69만 원, 많게는 6,656만 원을 들여 운용하며 최대 96.4배의 가격편차를 보이고 있고, 378대 중 39대(10.3%)는 고장으로 인해 평균 261.6일간 미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미국 등 서방국가들이 중국산 드론 등을 국가안보를 위협하는 요인으로 지적하고 있음에도 대한민국 식량안보 최전선을 담당하는 각종 첨단 농기계들은 중국산 편중도가 매우 심각하다. 농정당국도 공공용 드론 등을 국내산으로 대체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여한용 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