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소상공 울리는 '테이블오더' 수수료
이병주 | 입력 : 2025/01/07 [18:35]
무인주문기를 사용하는 외식업체가 5년간 4배 이상 증가했다는 수치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결제대행업체 사용 일부 기기 수수료가 과다하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특히 비대면 주문이 보편화되면서 배달의민족 등 플랫폼 기업들이 테이블오더 시장에 진출하는 가운데, 일부 키오스크ㆍ테이블오더 기기가 높은 결제수수료를 책정해 소상공인의 경영부담이 여전히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발행한 '무인주문기 활용의 외식업체 매출 및 고용영향 분석' 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외식업체의 무인주문기 사용 비중은 지난 2019년 1.5%에서 2023년 7.8%로 4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업종별로 살펴보면 피자·햄버거 판매점의 사용비중이 2023년 23.6%를 기록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이음식 포장판매점 20.2%, 음료판매점 15.9%, 기관 구내식당 14.7% 순으로 높았다.
그러나 일부 키오스크ㆍ테이블오더 기기는 카드결제 수수료율 보다 높은 수수료율을 책정하고 있어 소상공인의 부담이 크다는 지적이다. 예를 들어 월매출 2,500만 원이 모두 신용카드 매출이라고 가정할 때, 카드수수료는 월 12만 5,000원이고 테이블오더 수수료는 월 62만5,000원(수수료율 2.5% 기준)이 나온다.
이처럼 50만 원 차이가 난다. 연간으로 집계하면 카드 수수료 150만 원, 테이블오더 수수료 750만 원으로 무려 600만 원의 차이가 난다. 여신전문금융업법에 따라 카드사의 수수료율은 제한돼 있지만 결제대행업체(PG)가 얻는 결제대행수수료는 현행법상 규제 근거가 없다.
이에 일부 무인주문기 업체들은 이 같은 차이점을 제대로 설명하지 않고 소상공인에게 기기를 판매해 피해를 보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무인주문기가 보편화되고 있는 만큼 정부 차원에서 소상공인의 테이블오더 등 수수료 문제에 실질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이다. 가뜩이나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을 덜어줘야 할 것이다./이병주 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