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서울 버스노선 폐지에 엉뚱한 '경기도민들만 피해'

이병주 | 기사입력 2025/02/23 [17:57]

경기~서울 버스노선 폐지에 엉뚱한 '경기도민들만 피해'

이병주 | 입력 : 2025/02/23 [17:57]


경기~서울 버스노선 폐지로 엉뚱한 경기도민들만 피해를 당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19일 열린 제382회 제3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농정해양위원회 소속 김창식 의원(더민주당, 남양주5)은 "서울시의 버스노선 전면 개편으로 인해 경기도민이 겪고 있는 교통 불편 해소를 위한 도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서울시는 경기도와 연결된 버스노선을 지속적으로 축소해 왔으며, 2024년에도 6개 이상의 노선을 폐지했다"며 "2026년까지 전면적인 노선 개편이 예정된 만큼 추가적인 노선 폐지가 예상된다"라고 지적했다.

 

또한 "서울시는 이용객의 의견 수렴 절차조차 없이 일방적으로 폐선을 추진하고 있다"며 "특히 별내 지역은 서울과 가까운 위치에도 불구하고 대중교통이 불편한 곳으로 1155번 버스 폐지는 주민들에게 큰 불편을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어 "남양주시 별내면과 서울 석계역을 연결하는 1155번 버스는 2025년 3월 31일 운행을 종료하며, 이후 남양주시 구간은 폐선될 예정"이라며 "이에 경기도와 남양주시는 대체 노선으로 155번 버스를 신설하고, 4월 1일부터 15대를 투입해 운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경기도가 대체 노선 운영 방식으로 '노선입찰형'이 아닌 '공공지원형'을 채택함에 따라 특정 운수업체에 일감이 집중되는 문제가 발생했다"라며 "남양주시에서는 이미 특정 운수업체가 10-5번 버스의 무리한 감차와 10번 버스 운행 중단을 단행해 지역 주민들의 불만이 커진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체 노선 운영 방식이 특정 업체에 유리하게 결정된다면, 경기도 행정에 대한 신뢰가 더욱 흔들릴 것"이라고 비판했다.

 

특히 "서울시가 지난해 10월 11일, ‘대체 노선을 마련한 후 1155번을 폐선하겠다’는 공식 입장을 경기도에 전달했음에도 경기도는 충분한 협상 없이 급하게 공공지원형 방식을 채택했다"라며 "같은 실수를 반복해서는 안 된다"라고 꼬집었다.

 

아울러 "경기도가 책임 있는 자세로 도민의 발이 돼야 한다"라며 "버스노선 개편이 도민의 교통 편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추진될 수 있도록 철저한 준비와 감시 체계를 구축해 달라"고 덧붙였다./이병주 기자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내용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포토뉴스
송혜교, 초근접 촬영의 모습이 이 정도 '여신으로 인정'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