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와 경기도가 탈세 등을 예방하기 위해 온누리상품권의 모바일 가맹률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25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오세희 의원(더민주당)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지역별 모바일 및 지류 가맹률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 9월 말 기준 △지류 가맹점 19만 6,366개 △모바일 가맹점 10만 276개인 것으로 확인됐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019년 8월, 전통시장에 2030세대를 유입하고, 부정유통을 방지하기 위해 모바일 상품권을 도입했지만 모바일 온누리상품권 결제가 가능한 점포는 전체 영업점포 가운데 40.8%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지류 가맹점이 80%인 것과 비교했을 때 절반 수준에 불과하다.
이런 가운데 인천시의 경우 점포수 1만 3,465곳에서 지류가맹점 가맹률은 87.6%에 이른다. 반면, 모바일 가맹점은 4,450곳(28.9%)에 불과해 제주도 23.3%, 부산시 27.6%에 이어 가장 낮은 가맹률을 보였다.
또한 경기도는 점포수 2만 8,839곳에서 지류가맹점 가맹률은 75.2%인 상황에서 모바일 가맹점은 1만 4,219곳으로 37.0%에 불과했다. 이는 광역자치단체 중 제주도, 부산시, 인천시, 세종시 30.4%에 이은 5위로 하위권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모바일 가맹률이 평균(40.8%)보다 높은 지역은 강원(65.9%), 전북(59.5%), 경남(58.8%)이었고, 반면 낮은 지역으로는 제주(23.3%), 부산(27.6%), 인천(28.9%)이 차지했다.
아울러 지류 가맹률이 평균 80.0%보다 높은 지역은 강원도(97.4%), 충북도(95.9%), 충남도(91.2%), 광주시(90.1%) 순이었으며, 서울시(64.7%)과 세종시(53.6%)은 평균보다 낮은 가맹률을 기록했다.
오세희 의원은 "지난 7월 온누리상품권 부정유통 235건 중 92%(217건)가 지류 상품권에서 발생했다"면서 "모바일 상품권을 확대해야 한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여전히 지류 상품권에 대한 의존도가 우세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모바일 상품권을 도입한지 6년이 지났지만, 가맹률이 너무 저조한 상황"이라며 "세무 추적, 탈세 회피목적의 지류 상품권 축소하고, 모바일 가맹률을 높이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배종석 기자
 |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